14억으로 찾는 강동·송파 30평대 학군 아파트, 제가 직접 둘러본 후기

“공동명의 건물 매도 후 내 돈 맞나요? 증여세 문제, 이대로 두면 과세당할 수 있어요”
얼마 전, 어머니와 10년 넘게 공동명의로 소유했던 건물을 매도했어요. 계약서에도 똑같이 공동명의로 돼 있었고, 실질적으로 관리도 절반씩 나눠 해왔죠. 그런데 건물 매매 후 돈이 어머니 계좌로 들어가고, 다시 그중 일부를 저에게 이체하신 순간부터 걱정이 시작됐어요.
“혹시 이거, 공동명의 건물 증여로 세무서에서 문제 삼는 거 아닐까?”
인터넷을 아무리 뒤져도 속 시원한 설명은 없고, 비슷한 사례도 흐릿하게만 설명돼 있어서 혼란스럽더라고요.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분들 많을 거예요. 그래서 오늘은 제가 경험한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공동명의 건물 매도 후 증여 문제에 대해 정확하고 꼼꼼하게 정리해보려 합니다.
가장 중요한 건 이겁니다. 공동명의 건물의 매도 수익은 각자의 지분 비율에 따라 나눠 갖는 것이 원칙이라는 사실이에요.
예를 들어, 등기부등본상 어머니와 저, 이렇게 50:50 지분이라면 매도금도 정확히 절반씩 나눠 가져야 하고, 이 경우엔 세무상 증여로 간주되지 않아요.
하지만 문제가 생기는 건, 수익이 실제로 한 명의 계좌로 입금됐을 때예요. 저희도 건물 매매 과정에서 실수했던 부분이 바로 이거였어요. 계약금부터 잔금까지 모두 어머니 계좌로 들어갔고, 저는 세금 제하고 어머니가 나중에 계좌로 보내준 금액을 받았죠. 여기서 세무상 문제가 생길 소지가 있는 거예요.
세무당국 입장에서는 이체 내역만 보고 판단하게 됩니다. “어머니 계좌에 들어온 돈이 자녀에게 이체됐다? → 증여인가?” 이런 식으로 의심하는 거죠.
저도 국세청에 문의해보니, 실제로 공동명의로 매도했어도 수익이 한쪽 계좌로 몰린 후 다시 나눠지면 ‘증여 의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해요.
이럴 땐 어떻게 하냐고요?
지분율과 동일하게 나눴다는 계약서, 정산서, 통장 이체 메모 등 증빙을 준비해야 합니다.
특히 이체할 때 “○○건물 매도금 지분 정산” 같은 명확한 이체 사유를 적는 것이 좋아요.
통장 정리나 거래내역서도 5년 이상 보관하는 걸 추천합니다.
이렇게 하면 증여세 부과 리스크를 줄일 수 있어요.
사실상 명의만 공동이고 실제 자금은 한쪽이 전부 부담한 경우, 더 큰 문제가 생깁니다. 이걸 명의신탁이라고 하는데, 국세청은 이를 불법 증여 또는 탈세로 간주해요.
예를 들어, 어머니가 전 재산으로 건물을 사시고, 자식 명의로 절반을 넣은 경우라면, 실질적으론 자식에게 증여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생깁니다.
이런 경우는 처음부터 증여세 신고 및 납부가 필요하고, 신고하지 않았다면 나중에라도 과세될 수 있어요.
공동명의라서 안심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 자금 출처와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많이들 알고 있는 이 규정,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부모 → 자식 간 증여는 10년 동안 5천만 원까지는 증여세 없이 가능해요.
하지만 이건 “실제 증여일 경우”에 적용돼요. 즉:
공동명의 건물 매도 후, 내 지분 정산금은 증여 아님 → 이 공제와 무관
하지만 만약 지분 이상의 금액을 받았거나, 실질적으로 증여받은 거라면 → 이 공제 한도 내에서 신고 가능
예를 들어, 1억 원을 받았다면 5천만 원은 공제되고, 나머지 5천만 원에 대해 증여세가 부과되는 거죠.
주의할 점은, 여러 해에 걸쳐 나눠 받아도 총액 기준이기 때문에, 10년 내 누적 5천만 원 넘으면 신고 대상이라는 사실입니다.
저는 매도금 전액이 어머니 계좌로 입금됐기 때문에, 처음엔 세무서에 불려가는 것 아닌가 하는 걱정이 컸어요. 그런데 제가 한 조치들이 꽤 유효했어요.
건물 매매계약서와 등기부등본을 가지고 있었고
매도 당시 부동산 중개업자에게 받은 정산 명세서도 있었고
어머니와 주고받은 이체 내역에 “건물 지분 정산”이라는 메모도 남겼죠
세무 상담을 받았을 때, 이 정도 증빙이면 증여로 보긴 어렵다고 하더라고요.
그리고 이 내용을 문서로 정리해 따로 보관하고 있어요. 혹시 모르니까요.
공동명의 건물 증여에 대한 오해와 불안은 대부분 ‘정보 부족’에서 시작되더라고요.
공동명의라고 무조건 증여 문제가 없지는 않고,
매도금 분배 방식이나 자금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이 많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아래 세 가지입니다:
매도 수익은 지분 비율에 따라 정산해야 한다
정산 방식이 명확하지 않으면 ‘증여로 오해’받을 수 있다
5천만 원 증여 공제는 ‘실제 증여일 경우’에만 적용된다
사실 이런 건 누구에게 물어보기도 애매하고, 검색해도 확실한 정보가 잘 안 나와서 더 어려워요. 저처럼 당황하고 계신 분들이 있다면, 이 글이 작게나마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