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억으로 찾는 강동·송파 30평대 학군 아파트, 제가 직접 둘러본 후기

아이가 아직 너무 어려서 어린이집 등하원은 물론, 집에서 잠깐씩 돌봐주는 일이 많다 보니, 믿을 사람이라고는 가족뿐이더라고요. 특히 맞벌이 부부에게는 ‘육아’라는 단어가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저 역시 만 3세 미만 자녀 두 명을 키우고 있는 맞벌이 엄마입니다.
아이 둘의 등하원을 챙기고, 아플 때 병원도 데려가고, 간단한 끼니 챙김까지 도와주는 동생에게 매달 일정한 수고비를 주고 있었어요. 처음엔 그냥 고맙다는 마음으로 드렸는데, 금액이 쌓이다 보니 문득 걱정이 되더라고요. “이거, 혹시 세금 문제가 될 수도 있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자녀돌봄비 세금처리에 대해 명확히 아시는 분, 많지 않으시죠? 오늘은 제가 직접 알아보고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많은 분들이 오해하는 부분도 짚고, 실제로 어떻게 처리하는 게 합리적인지 풀어보려고 해요.
이 질문을 세무서에 물어본 분들도 계시겠지만, 실제로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핵심은 두 가지 기준에 있습니다.
정기적인 대가성 지급인지?
가족 간 금전 거래에서 증여세 한도를 넘었는지?
예를 들어, 동생에게 월 30만 원씩 꾸준히 3년간 지급했다면, 총액이 1,080만 원에 달하게 됩니다. 이 경우, 단순한 ‘고마움의 표현’이라기보다는 용역에 대한 대가로 볼 여지가 생깁니다. 국세청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소득세나 증여세 과세 대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자녀나 부모 간에는 비교적 넉넉한 증여세 비과세 기준이 있습니다. 그러나 형제자매 간에는 10년간 1,000만 원까지만 비과세입니다. 즉, 형제에게 10년 동안 준 돈이 1,000만 원을 넘는다면, 초과분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내야 한다는 의미죠.
여기서 많은 분들이 오해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가족이니까 그냥 도와준 거지, 이게 무슨 세금이야?"
→ 국세청은 사적 친분이나 가족 관계만으로 비과세를 판단하지 않습니다. 일정 금액 이상을 반복적으로 지급하면 ‘경제적 이전’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특히 최근에는 현금 거래, 계좌이체 내역 등을 근거로 가족 간 금전 이동도 추적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요.
만약 동생이 직업적으로 돌봄 활동을 하고 있고, 그에 대한 정기적인 대가를 받고 있다면, 이는 용역 제공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즉, 단순한 ‘가족 간 돌봄’이 아니라 실질적 근로 혹은 기타소득으로 해석될 수 있는 거죠.
소득세는 다음 두 가지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타소득: 정기적이지 않지만, 대가성이 명확한 경우
사업소득: 반복적이고 직업처럼 수행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동생이 어린이집 등하원을 고정적으로 담당하고, 주 5일 아침 8시부터 저녁 6시까지 아이를 돌본다면, 이는 단순 ‘수고비’가 아니라 근로 혹은 용역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일정 소득 이상이면 소득세 신고 의무가 생기고, 이를 누락하면 나중에 가산세 부담까지 생길 수 있어요.
비정기적 지급 & 소액 유지
매달 일정 금액을 주는 구조보다는, 특별한 날의 수고비 또는 비정기적 용돈으로 주는 편이 증여로 보기 어렵습니다. 단, 누적 금액이 1,000만 원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현금보다는 계좌이체
기록을 남기되, ‘용돈’, ‘수고비’ 등의 메모를 활용하면 추후 설명하기 쉬워집니다. 단, 이 메모가 ‘돌봄 비용’, ‘급여’ 등으로 기재되면 용역 대가로 해석될 여지가 생깁니다.
가족 간 계약서 작성 고려
실제로 장기간 돌봄을 맡긴다면, 단순한 용돈보다는 간단한 가족 간 돌봄 계약서를 만들어, 돌봄의 성격이 봉사인지, 급여인지 분명히 해두는 것도 방법입니다.
증여세 시뮬레이션 활용
국세청 홈택스에서는 증여세 자동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상 금액을 넣어보고, 증여세 부담이 어느 정도일지 확인해보세요.
많은 분들이 "세무조사까지는 아니겠지"라고 생각하시지만, 실제로 가족 간 계좌이체 내역, 현금 인출, 생활비 지급 내역 등이 큰 금액으로 오가면, 국세청의 모니터링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녀돌봄비 세금처리 문제는, 최근 사회적 이슈인 ‘가족 내 유사고용’ 이슈와 겹치며 더욱 민감한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따라서 세금 문제로 골치 아프기 전에, 다음을 실천해보세요:
누적 금액 체크: 1,000만 원 초과 전까지 조심
정기성 피하기: 매달 고정 지급은 위험
직접 고용 형태 피하기: 명확히 ‘가족 돌봄’임을 표현
전문가 상담 받기: 금액이 클 경우 세무사 자문 필수
가족이니까 괜찮겠지, 라는 생각으로 시작한 수고비가 어느 순간 세금 문제로 번질 수 있다는 점, 오늘 정리한 내용을 통해 충분히 공감하셨을 거라 생각해요.
맞벌이 가정에게 자녀돌봄비 세금처리는 단순한 회계 문제가 아닙니다. 가족 간 신뢰, 아이의 돌봄 안정성, 그리고 장기적인 경제적 계획까지 함께 엮여 있는 민감한 주제입니다.
꼭 세금을 피하자는 게 아니라, 정확히 알고 대비하자는 것이 이 글의 핵심이에요. 나중에라도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지금부터라도 꼼꼼하게 관리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