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억으로 찾는 강동·송파 30평대 학군 아파트, 제가 직접 둘러본 후기

(작성자 : 마켓핑크)
올해 4월에 남편과 저는 오래 꿈꿔오던 집을 드디어 매입했어요.
신축에 채광도 좋고 동네 분위기도 너무 마음에 들어서 정말 설레던 순간이었죠.
그런데 문제는 바로 재산세 고지서에서 시작됐습니다.
"작년에 비해 기존 집 재산세가 두 배 이상 나왔습니다."
분명히 전보다 집이 더 비싸진 것도 아니고,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한 것도 아닌데 왜 세금이 이렇게 불어난 걸까요?
찾고 또 찾아보니, 바로 ‘일시적 1가구 2주택’ 상태에서 전입신고가 늦어진 것이 문제였던 거예요.
처음에는 저도 ‘설마 전입 늦었다고 재산세가 더 나오겠어?’ 하고 생각했지만, 현실은 정말 달랐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겪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일시적 1가구 2주택’에서 전입이 늦어질 경우 생길 수 있는 재산세 문제와 오해하기 쉬운 세금 규정들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먼저 개념부터 정확히 짚고 넘어가야 해요.
‘일시적 1가구 2주택’이란 기존 주택을 보유한 상태에서 새 집을 취득하고, 일정 기간 내 기존 주택을 처분할 예정인 상태를 말합니다.
보통 이런 경우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많이 발생해요:
새 아파트 청약 당첨 후 이사 준비 중
기존 집이 팔리지 않아 겹치는 기간이 생김
전세 계약 기간 때문에 전입을 늦추는 경우
정부는 이런 ‘불가피한 겹침 기간’을 고려해서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을 주고 있어요.
예를 들어, 새 집을 산 날로부터 2년 이내에 기존 집을 팔면 새 집을 1주택으로 인정해주는 거죠.
그래서 많은 분들이 일시적 1가구 2주택이면 모든 세금에서 자동으로 혜택이 따라오는 줄 아세요.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함정이 하나 있습니다.
네. 정말 폭탄처럼 날아옵니다.
많은 분들이 놓치는 게 바로 이 재산세는 양도소득세와 다르다는 점이에요.
양도세는 ‘나중에 집을 팔 때’ 적용되는 세금이지만,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현재 집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문제는 재산세에서 1가구 1주택자에게는 세율 특례를 적용해준다는 점이에요.
예를 들어,
1가구 1주택이면 재산세 세율이 낮고
세금이 전년도보다 5% 이상 오르지 않게 상한이 걸림
하지만,
2주택자가 되면 세율이 높아지고
세금이 최대 150~200%까지 인상될 수 있어요
제가 전입신고를 7월 14일에 했기 때문에, 6월 1일 기준으로는 두 집을 모두 보유하고 있었고,
그중 한 채도 ‘1가구 1주택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어요.
결국 기존 주택까지도 2주택자의 높은 세율로 재산세가 부과된 것이죠.
재산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단순히 ‘1가구 2주택’이라는 상태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신규주택에 실제로 전입신고를 했는가?”**가 핵심이에요.
즉, 등기를 먼저 했다고 해도 실제로 살지 않고 전입도 안 돼 있다면 ‘1가구 1주택’으로 인정되지 않는 것이죠.
제가 겪은 상황을 요약하면 이래요:
4월 10일: 새 집 등기 완료
매도인이 75일간 전세로 거주
저는 기존 전셋집 계약기간 때문에 7월 14일 전입 예정
결과: 6월 1일 기준으로 전입신고가 되지 않아 2주택자로 간주
기존주택 재산세 → 작년 대비 2배 이상 증가
많은 분들이 여기서 또 걱정하시는 게 바로 양도세예요.
“이러다 일시적 1가구 2주택 혜택도 날아가는 거 아닌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괜찮습니다.
양도세 비과세는 ‘2년 안에 기존 주택을 처분하면’ 적용되기 때문에,
전입신고 시점이나 재산세 과세 기준일은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즉, 이번에 재산세는 올라갔지만,
향후 기존 집을 2년 이내에 매도하면 양도세 비과세는 정상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오해1: 일시적 1가구 2주택이면 모든 세금에서 혜택
→ ❌ 양도세에는 혜택이 있어도, 재산세는 별도 조건 필요 (전입 등)
📌 오해2: 등기만 해도 1주택으로 인정된다
→ ❌ 실제 전입신고와 거주 의사가 확인돼야 혜택 가능
📌 오해3: 재산세는 늘어도 나중에 환급받을 수 있다
→ ❌ 재산세는 당해년도 기준 부과되며, 환급 어렵고 이의신청도 제한적
📌 오해4: 전입 늦춰도 아무 영향 없다
→ ❌ 전입이 늦어질수록 1가구 1주택 요건을 못 맞춰 불이익 발생 가능
저처럼 이사 계획에 따라 전입이 늦어질 예정이라면, 아래 팁들을 꼭 참고해보세요.
가능하면 등기 전 전입을 고려하거나 등기일을 늦추는 방법도 고민해보세요.
중간에 매도인이 거주하는 기간이 있다면, 등기와 전입을 분리해서 재산세에 미치는 영향까지 점검하는 것이 좋아요.
**지방세 담당 부서(구청 재산세과)**에 미리 문의하면 예상 세금 시뮬레이션도 가능합니다.
처음에는 정말 억울했어요.
그저 계획대로 이사를 못 했을 뿐인데, 왜 세금이 이렇게까지 늘어났나 싶었죠.
하지만 자세히 알아보니 재산세는 ‘전입’과 ‘시점’이 정말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저처럼 같은 상황을 겪는 분들이 많다는 것도 알게 됐어요.
‘일시적 1가구 2주택’은 혜택도 많지만, 조건을 제대로 지키지 않으면 생각보다 큰 세금 부담이 따릅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이 저처럼 뒤늦게 당황하지 않도록,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