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가 되고 싶은 사람, 꼭 컴퓨터공학과를 가야 할까?

안녕하세요, 마켓핑크입니다.
여러분은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넘으면 세금 폭탄이 떨어진다는 말,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사실 저도 올해 처음으로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넘었습니다. 평소에는 그냥 통장에 이자 조금, 주식 배당 조금 받는 수준이었는데, 올해는 운 좋게 배당금도 좀 늘고, 예금 금리도 오르다 보니 의외로 금융소득이 2,200만 원 정도 나왔더라고요.
문제는 이게 전부가 아니라는 거예요.
연봉이 3,500만 원대인데 여기에 금융소득까지 합쳐지면, 세율이 올라간다고 해서 깜짝 놀랐죠. 검색해보니 금융소득 종합과세라는 제도가 있더라고요. 처음 듣는 분들은 이름만 들어도 머리가 아프실 수 있는데, 저처럼 처음 겪는 분들을 위해 하나씩 풀어드릴게요.
일단 금융소득이란 건 쉽게 말해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을 말해요. 은행 예금이자, 채권 이자, 펀드 수익분, 그리고 주식 배당금 등이 해당됩니다.
이자나 배당을 받을 때는 보통 15.4% 세금이 알아서 빠져나가죠. 그래서 대부분 사람들은 따로 신경 쓰지 않아도 됐던 거예요.
그런데 말입니다. 이 금융소득이 연간 2,000만 원을 초과하면, 그 순간부터는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넘는 순간, 그 금액은 다른 소득(근로소득 등)과 합산되어 종합과세 대상이 돼요. 이름하여 금융소득 종합과세입니다.
즉, 연봉과 금융소득을 합산한 금액에 대해 다시 **누진세율(6%~45%)**을 적용해서 계산하게 되는 거예요.
이게 도대체 얼마나 차이가 나길래 사람들이 '세금 폭탄'이라고 하는 걸까요?
제 사례를 기준으로 한 번 계산해볼게요.
연봉: 3,500만 원
금융소득: 2,200만 원
종합소득 합산: 5,700만 원
연봉 3,500만 원은 근로소득공제를 거치면 과세표준이 약 1,300만 원 정도 됩니다.
여기에 금융소득 2,200만 원이 더해지면 총 과세표준은 약 3,500만 원 내외가 됩니다. 이 금액은 종합소득세 과세구간에서 15% 세율에 해당합니다.
그러면 문제는 어디서 생기냐면,
원래 금융소득 2,200만 원에서 **15.4% 세금(약 340만 원)**을 원천징수로 이미 냈는데,
이제는 종합과세로 계산되면서 15% 또는 그 이상 세율로 다시 계산을 하게 된다는 겁니다.
추가로 부담해야 할 세금은 대략 250만 원 전후로 나올 수 있어요.
기존에 냈던 원천징수액은 기납부세액으로 공제되지만, 초과세율만큼은 더 내야 되는 구조죠.
저처럼 예금도 좀 하고, 채권도 들고 계신 분들은 "그럼 이자 다 포함되는 거야?"라고 궁금하실 수 있어요.
정답은 NO!
금융소득 종합과세에는 비과세 상품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서:
농특세 비과세 예금
개인형 ISA 계좌의 비과세 한도 내 수익
채권 중 비과세 채권
이런 것들은 종합과세 계산에서 빠집니다.
그래서 투자할 때 비과세 혜택이 있는 상품을 잘 활용하는 게 생각보다 중요해요. 특히 ISA는 이제 연간 납입한도도 늘어났기 때문에, 금융소득이 꾸준히 발생하는 분들은 꼭 활용해보세요.
많은 분들이 세금 외에 간과하는 부분이 건강보험료예요.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넘으면, 직장인이더라도 국민건강보험공단 기준으로 지역가입자 방식으로 소득 반영이 되면서,
건강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그냥 연봉 기준으로 건강보험료를 내던 직장인이었는데,
이제는 금융소득도 보험료 산정 기준에 포함되다 보니, 추가로 월 몇만 원~십만 원 이상 내게 되는 경우도 있어요.
다만 이건 정확히 그 해가 아니라 다음 해 하반기부터 적용되니 미리 대비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듬해 금융소득이 2,000만 원 아래로 줄어들면 다시 원상복귀되니까, 영구적인 전환은 아니에요.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그 전액이 종합과세 대상입니다. 단, 비과세 상품은 제외.
종합소득세 신고는 이듬해 5월, 국세청 홈택스에서 직접 하거나 세무사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는 자동으로 신고되지 않으므로, 본인이 직접 신고해야 합니다.
종합소득세는 기납부세액(15.4%)을 공제하고 차액만 내지만, 세율이 높아질 경우 추가 세금이 상당할 수 있어요.
건강보험료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예상되는 보험료 상승분도 고려하셔야 합니다.
금융소득 종합과세라는 말 자체가 어렵게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내 금융소득이 얼마인지, 비과세 상품인지 아닌지,
그리고 총 소득이 어느 과세구간에 들어가는지만 파악하면, 대응이 그렇게 어렵진 않아요.
저도 처음에는 ‘왜 갑자기 내게 세금이 더 붙지?’ 하고 당황했지만,
하나하나 계산해보니 제 상황에서는 큰 세금 폭탄까진 아니었고, 앞으로는 더 계획적으로 투자해야겠다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만약 올해 여러분도 금융소득이 많아졌다면,
단순히 "세금 내기 싫다"보다는
"내가 어떤 소득 구간에 들어가는지" 파악하고, 비과세 상품도 적절히 활용해보세요.